본문 바로가기
4대보험 및 정부지원, 행정 총정리

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차이점은? 전세 계약 후, 이 순서로 안 하면 보증금 못 돌려받습니다

by gold-sun 2025. 4. 7.

전세 계약을 마쳤다면 이제 중요한 절차 두 가지가 남아있습니다. 바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기입니다.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두 가지를 헷갈려하시죠? 전입신고는 그냥 주소 옮기는 거 아니야? 확정일자는 도대체 뭔데 꼭 받아야 하는 거야?

 

 

이 글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점, 우선순위, 그리고 보증금 보호를 위한 꿀팁까지 초보자도 바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 

전입신고와 확정일자 차이점은? 전세 계약 후, 이 순서로 안 하면 보증금 못 돌려받습니다

 

 

 

 

 

 

전입신고란?

전입신고란 실제로 거주하는 주소를 행정적으로 등록하는 절차입니다.
  • 누가? 세입자 본인
  • 언제?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
  • 어디서? 주민센터 or 정부24

📌 전입신고를 하면, 해당 주소지의 주민등록상 거주자가 됩니다.

 

 

확정일자란?

확정일자는 임대차 계약서에 '날짜 도장을 찍는 것'이에요.

이 날짜를 기준으로 보증금 보호 우선순위가 생깁니다.

  • 누가? 임차인
  • 언제? 계약서에 임대인/임차인 모두 서명한 후
  • 어디서? 주민센터 or 인터넷등기소

📌 확정일자를 받아야, 보증금을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어요.

 

 

전입신고 vs 확정일자 차이점 한눈에 보기

둘 다 임차인 보호에 중요한 절차지만, 역할과 효과는 분명히 다릅니다. 전입신고와 확정일자의 차이점을 한눈에 비교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립니다.

 

 

구분 전입신고 확정일자
목적 주소 변경 신고 계약 날짜 법적 증명
효과 우선변제권 발생 조건 중 하나 우선변제권 발생 조건 중 하나
장소 주민센터 / 정부24 주민센터 / 인터넷등기소
처리 시간 즉시 반영 즉시 도장 찍힘
비용 무료 보통 600원 내외 (계좌이체 가능)
필수 여부 전세보호에 필수 전세보호에 필수

※ 둘 다 해야 전세보증금 보호됩니다!

 

 

전입신고와 확정일자, 어떤 순서로 해야 해요?

가장 안전한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:

 

 

  • 이사 완료 (실제 입주)
  • 전입신고
  • 확정일자 받기

📌 단, 확정일자는 계약 직후에도 받을 수 있으니 이사 전에 미리 받아두는 것도 가능합니다.

하지만 전입신고는 입주 후에만 가능합니다!

 

 

왜 둘 다 해야 하나요?

전세보증금을 보호받으려면 아래 두 조건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합니다:

  • 전입신고 완료 (실거주 증명)
  • 확정일자 기재된 계약서 (법적 효력 발생)

※ 이 두 가지가 모두 있어야

👉 집이 경매나 공매로 넘어가도 "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(우선변제권)"가 생깁니다.

 

 

이건 꼭 주의하세요!

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반드시 함께 진행해야 임차인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  • 확정일자만 있고 전입신고 안 하면? → 보호 못 받음
  • 전입신고 했는데 확정일자 안 받으면? → 보호 못 받음
  • 전입신고는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꼭 해야 함
  • 확정일자는 계약서 원본 지참해야 가능

 

마무리

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**전세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‘보안장치’**입니다. 둘 중 하나라도 빠지면, 집이 경매로 넘어가도 보증금을 한 푼도 못 돌려받을 수 있어요.

✔ 지금 전세 계약했다면, 바로 전입신고 + 확정일자 받으세요!